백업을 다음과 같이 진행 하기 위해 스크립트를 작성 함
1. nas 백업은 rsync를 사용 함
cd /mnt/nas_org
/usr/bin/rsync -aur --delete /mnt/nas_org/htdocs/ 127.0.0.1::nas/htdocs
/usr/bin/rsync -aur --delete /mnt/nas_org/musichtdocs/ 127.0.0.1::nas/musichtdocs
cd /mnt/nas2_org/www1_htdocs
/usr/bin/rsync -aur --delete /mnt/nas2_org/www1_htdocs/htdocs/ 127.0.0.1::naswww1/htdocs
cd /mnt/nas2_org2
/usr/bin/rsync -aur --delete /mnt/nas2_org2/musicmember/music/ 127.0.0.1::musicmem/music
RSYNC 옵션에 대한 설명
-a는 archive mode (심볼릭 링크, 속성, 퍼미션, 소유권등 보존).
-v verbose(상세하게 보여움).
-z compress(전송시 압축을 함).
-u update only(새로운 파일을 덮어쓰지 않음)
--delete 서버쪽에 없고 클라이언트쪽에만 있는 파일을 지움
2. TAPE 백업 ( DAT 및 LTO백업 )
ufsdump 0uf /dev/rmt/0n /dev/dsk/c0t0d0s0 -> 디바이스 볼륨 백업
vdump -0uf /dev/ntape/tape0c / -> 폴드 단위 백업
tar cvf /dev/ntape/tape0c ./ -> 파일 단위의 백업
dump -0uf /dev/ntape/tape0c ./ -> 파일 단위의 백업
현재 회사에서 RSYNC를 많이 이용한 DISK백업 사용을 정책으로 한다.
'생활정보 >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flash 미디어 서비스 정리] Flash Media Server -Publishing from server to server (0) | 2009.06.15 |
---|---|
[flash 미디어 서비스 정리] Flash Media Server 3.5 설치 및 사용법 (0) | 2009.06.15 |
[flash 미디어 서비스 정리] Flash live encoder3.01 사용법 (0) | 2009.06.15 |
XCOPY 명령어 도움말 (0) | 2009.05.14 |
리눅스 ( linux ) 설치 간단 메뉴얼 (0) | 2009.05.14 |
windows 7 RC 정보모음 (0) | 2009.05.14 |
[ DarwinStreamingSrvr5.5-Linux ] apple사의 미디어 서버 설치 하기 (0) | 2009.05.06 |
http://m.youtube.com/에서 사용하는 스트리밍 시스템에 대한 분석 (0) | 2009.05.04 |
Http Playlist 를 이용한 Windows Media Service 자동 on-air 제공 (0) | 2009.05.01 |
[연구과제]인코딩연구과제-코덱(H.264 VS WMV)v1 (0) | 2009.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