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현 코덱 기술 현황
2. 코덱의 분류
종 류 |
세부 분류 |
특 징 |
MPEG |
MPEG-1 |
CIF해상도(352x288)와 초당 30프레임에서 VHS화질을 제공하는 1~1.5Mbps의 대역폭을 가지며, 엔코딩을 위해 고가의 하드웨어가 필요함. CD-ROM 재생에는 아주 적합한 방식이나, 프레임 전송시 상당한 대기시간이 소요되므로 화상회의에는 적합지 않음. |
MEPG-2 |
고해상도 비디오와 성능이 개선된 오디오를 지원하는 것을 포함하여 MPEG-1을 확장한 방식으로, 고화질의 어플리케이션과 TV 방송용에 적합한 방식임. | |
MPEG-4 |
높은 압축률로 낮은 bit율을 구현하여 화상회의 등 네트워크간의 데이터 전송에 효율적인 방식으로, 64bit/s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 화상회의 등에서 다중전송이 가능함. | |
DivX |
마이크로소프트의 MPEG-4 코덱을 해킹하여 바이너리를 조작, 변경 가능하게 하고 음성(사운드트랙)은 MP3로 대체한 변형 코덱을 일컫는다. 이 코덱은 원본 DVD 영화를 DivX 코덱으로 변환하더라도 CD 한두장의 용량에 원본의 화질을 구현하는 장점이 있어 개발 이후 폭발적인 인기를 얻었다. | |
VC-1 |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한 WMV9에 기반한 SMPTE 표준의 첨단압축비디오 코덱으로, MPEG-2, MPEG-4 AVS 등과 함께 블루레이의 표준코덱 중 하나이다. 기존의 H.264에 비해 2배 이상 빠른 HD비디오 디코딩 속도와 MPEG-2 코덱보다 2~3배 높은 압축율을 가진다. | |
H.2xx |
H.261 |
화상회의와 1:1 비디오폰 전송 어플리케이션을 목표로 개발되었고, MPEG보다 CPU 점유율이 낮으나, 동화상 대역폭에 최적화되어 있기 때문에 화면전환은 빠르나, 정지화질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음. CIF와 QCIF 2종류의 해상도가 있음. |
H.263 |
낮은 bit율 통신을 위해 설계된 ITU-T의 표준안으로, H.261에 화질개선과 에러보정기술이 향상된 버전. CIF, QCIF, SQCIF, 4CIF, 6CIF 등 5가지의 해상도 지원. | |
H.264 |
MPEG-4 AVC(Advanced Video Codec) 또는 MPEG-4 Part10으로도 불리는데, 1Mbps 이하의 속도에서 DVD 수준의 고품질 비디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블루레이와 HD DVD 디지털 비디오코덱 가운데 하나로, MPEG-2나 4 ASP보다 2~3배의 높은 압축률. 인터넷 접속을 통해 동작을 완벽하게 재생할 수 있고, 강력한 에러복원기능을 내장하고 있어 네트워크 상태가 좋지 않더라도 최상의 화상회의를 진행할 수 있음. | |
AVI |
개인용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영상보드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마이크로소프트 비디오 포 윈도우즈(Microsoft Video for Windows)'가 지원하는 디지털동영상 압축파일의 한 형태로, 업계 표준의 동영상 압축 규격은 MPEG이다. 애플사의 Quick Time과 유사한 파일형식으로서, 앞으로 ASF 포맷이 AVI 포맷을 대체할 것으로 예상됨. | |
ASF |
Microsoft에서 오디오, 비디오, 이미지, URL, 실행파일 등을 담아 만든 통합멀티미디어 파일로써 스트리밍이 가능한 컨테이너 형식이다. 인터넷상에서 파일다운로드와 동시에 재생이 가능. | |
WMV |
MPEG2와 4에 대응하기 위해 Microsoft에서 개발한 스트리밍용 압축방식으로 윈도우에 최적화되어 있으며, CPU 점유율이 낮음. | |
Xvid |
DivX의 유료화에 맞서 MPEG를 기반으로 만든 합법적인 오픈소스 형식의 무료 프로그램이지만 화질이 떨어지고 밝기 조절 등의 문제가 있으며, 현재는 개발 중단 상태. | |
MOV |
애플의 퀵타임 동영상포맷으로 AVI 포맷보다 압축률과 화질이 뛰어나며, Quick Time Player로 재생 가능한 포맷형식. |
3. WMV 및 H.264 코덱 비교
4. Nexdef 와 smoth HD 비교
분 류 |
Nexdef |
Smooth HD |
특징 |
- 플래쉬 기반 - 1.2Mbps 대역폭에서 HD급 스트림가능 - 자신의 컴퓨터 사양에 알맞은 화질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함 |
- 윈도우미디어서비스 기반, 실버라이트 스트리밍 - 300kbps ~ 2.4Mbps 대역폭 사용 HD급 스트림가능 |
버퍼링 |
- 화질 자동 조절 기능은 초고화질 영상으로 경기를 보 다가도 버퍼링이 심해지면, 플레이어가 일시적으로 화질을 낮춰 끊김없는 동영상을 제공한다 |
- Adaptive Streaming은 사용자의 네트워크의 상태와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CPU를 자동으로 파악해 영상의 Bitrate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스트리밍 기술 |
기타 |
- MLB 실시간 서비스중 |
- NBA VOD 서비스중 |
참조 자료 링크
1. http://blog.naver.com/laizenti?Redirect=Log&logNo=40063003017 : H.264 VS WMV
2. http://www.iis.net/media/experiencesmoothstreaming : Smooth HD
3. http://www.smoothhd.com : Smooth HD
생각보다 H.264와 WMV의 코덱 9의 차이가 별로 없다는 정보가 있는데 왜 사람들은 H.264가 더났다고 할까??
좀더 확인이 필요하네요..
'생활정보 >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flash 미디어 서비스 정리] Flash Media Server -Publishing from server to server (0) | 2009.06.15 |
---|---|
[flash 미디어 서비스 정리] Flash Media Server 3.5 설치 및 사용법 (0) | 2009.06.15 |
[flash 미디어 서비스 정리] Flash live encoder3.01 사용법 (0) | 2009.06.15 |
XCOPY 명령어 도움말 (0) | 2009.05.14 |
리눅스 ( linux ) 설치 간단 메뉴얼 (0) | 2009.05.14 |
windows 7 RC 정보모음 (0) | 2009.05.14 |
[ DarwinStreamingSrvr5.5-Linux ] apple사의 미디어 서버 설치 하기 (0) | 2009.05.06 |
http://m.youtube.com/에서 사용하는 스트리밍 시스템에 대한 분석 (0) | 2009.05.04 |
백업 스크립트 작성 - 2009년 5월 1일 (0) | 2009.05.04 |
Http Playlist 를 이용한 Windows Media Service 자동 on-air 제공 (0) | 2009.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