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semina

2010년 주요 산업 전망과 현안

2010년 주요 산업 전망과 현안

 

현대경제연구원

 

1. 산업 전망의 전제조건

 

 □ 대외경제여건

 

   ㅇ 2010년 세계 경제는 선진국 경기 회복이 가시화되면서 개도국 경제도 빠르게 회복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세계 교역량이 완만하게나마 증가세로 돌아 설 가능성이 높으나 중국, 인도, 중동 등 신흥공업국과 산유국에 비해 금융위기의 여파로 EU, 미국, 일본 등 주요 선진국은 경기 회복세가 빠르지 않을 것으로 보임

 

 □ 국내 경제 여건

 

   ㅇ 대외 여건 개선을 바탕으로 한국의 2010년 연간 경제성장률은 3%대 후반으로 상승이 예상되며, 소비자 심리와 고용 상황 개선으로 소비는 3%대로 회복, 정부의 기업 프렌들리 정책과 환율 하락 등으로 인한 투자 심리 개선 효과 등으로 투자는 7% 내외의 증가율을 기록할 전망이나, 건설투자는 4대강 살리기 등 공공 투자의 활발에도 불구 주택 시장 부진으로 회복세는 매우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됨

 

2. 산업 전망의 명암

 

 (1) 전반적으로 금융위기 이전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경기 회복세가 전망됨

 

   ㅇ 세계 경기 회복 기조 진입으로 대체적으로 2010년은 전년에 비해 개선될 전망이나 2007년, 2008년 상반기 수준의 경제 성장은 어려울 것으로 보임

 

 (2) 수출 부분이 내수 부문에 비해 상대적으로 호조를 보일 것으로 판단

 

   ㅇ 2010년 경기 부양책의 효과가 사라짐에 따라 그동안 직간접적으로 수혜를 받았던 내수 부문이 어려움에 처할 가능성이 높은 반면, 세계 경제 회복으로 주력 산업들 내 수출 부문은 상대적으로 빠른 회복세가 예상되며 수출비중이 절대적인 조선업의 경우 신규수주는 크게 늘지 않더라도 기존 수주량을 바탕으로 호조를 이어갈 것으로 판단

 

 (3) 제조업이 비제조업에 비해 회복세가 빠를 것으로 예상

 

   ㅇ 수출 경기 회복세가 빠를 것으로 보여 수출 비중이 높은 제조업 경기가 비제조업 경기를 앞서 갈 것으로 보임

 

 (4) 산업별 경기회복 체감 온도에 격차가 존재할 것으로 전망

 

   ㅇ 불황->회복->호황->후퇴의 네 국면으로 구분할때 기계, 자동차, 물류(택배), IT, 건설 등은 "강회복 산업", 해운, 철강 산업은 "약회복 산업", 조선업은 "경기 후퇴 산업", 석유화학산업은 "경기 불황 산업" 등으로 구분될 것으로 전망됨

 

 

 (5) 지역별 경제 회복 속도 차이로 수출 산업간 희비 교차가 예상됨

 

   ㅇ 중국의 경제 회복 속도가 빨라 중국 수출 비중이 높은 기계, IT산업의 호조가 예상되며, 석유화학은 중국 수출 비중은 높으나 중국 및 중동 국가들의 산업설비 신증설 투자 완료로 인한 시장 공급 과잉으로 어려움이 예상되고, 건설업은 중동을 중심으로 수주 확대가 예상됨

 

3. 주요 산업 전망 및 현안

 

 □ 조선: 경기 회복으로 생산과 수출은 미약하나마 상승세가 예상되나 수주 실적은 소폭 증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되며, 주요 현안으로는 수주환경 악화, 수주격감으로 인한 자금 경색 지속, 업체들의 사업다각화와 이에 따른 위험부담 증가 등을 들 수 있음

 

 □ 기계: 투자 심리 개선으로 설비투자용 기계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주요 현안으로는 중동지역의 담수, 플랜트 수요의 회복, 그린 이코노미 확산에 따른 기계설비 녹색화 확대 등이 예상됨

 

 □ 자동차: 2010년 주요국 경기부양책 종료로 글로벌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보여 수출과 생산은 금융위기 이전 수준을 넘어서기 여려울 것으로 예상되며 주요 현안으로는 친환경 고연비차의 시장 경쟁 심화, 자동차 산업내 지각변동 등을 들 수 있음

 

 □ 철강: 상반기부터 철강 수요가 증가세로 돌아서고, 제고 소진 이후 다소의 시차를 두고 생산량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주요 현안으로는 생산 설비의 과잉 투자 우려, 공급자 중심의 원료 업계 재편, 해외 진출의 유인 요소 증가, 철강 기업들의 그린 이미지 구축 경쟁 등임

 

 □ 석유화학: 2010년 중국, 중동의 신증설물량의 시장 유입이 본격화됨에 따라 경기가 재침체될 전망이며, 주요 현안으로는 중국, 중동 생산 급증에 따른 수익 악화, 업계 내 사업구조 합리화 및 합종연횡 강화 등이 있음

 

 □ 해운: 세계 경제 회복과 교역 증가로 해운 수요의 반등이 기대되지만 선복량(공급)이 더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보여 제한적 수준의 회복에 그칠 전망이며, 주요 현안으로는 대량화물 화주들의 해운업 지분 확대, 중소업체 들의 법정관리와 대기업 인력 구조조정 지속, 중국 해운업의 부상 등을 들 수 있음

 

 □ 물류택배: 소비회복으로 운송 물량이 늘어날 것으로 판단되며, 주요 현안으로는 정부가 '녹색물류' 이슈를 포함한 물류산업 선진화를 적극 추진함에 따른 사업 방식의 변화와 경쟁 격화로 단가 상승도 제한적이어 업계의 수익성 확보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보임

 

 □ IT: 업종 내 구조조정 완료에 따른 수급 여건 개선, PC수요 증가에 대한 기대감 등으로 업황은 평년 수준을 회복할 것으로 보이며, 주요 현안으로는 업종 성숙화로 인한 수익성 하락에 대응하여 업계 내 기업들의 사업구조가 아웃소싱 비중이 높은 구조로 빠르게 전환되는 현상 등을 들 수 있음

 

 □ 건설: 민간주택 부분 부진에도 4대강 사업 등 공공 수요 확대가 이를 상쇄하여 회복국면이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주요 현안으로는 공공민간부문 경기 양극화가 대형기업 중소기업간 경기 양극화를 심화시킬 우려가 존재하는 점을 들 수 있음

 

 

 

4. 정책적 시사점

 

 (1) 산업 경기 회복세 강화를 위해 적그적인 내수 활성화 정책이 지속되어야 함

 

 (2) 산업경기 사이클 별로 차별적인 산업정책이 필요

 

 (3) 신흥공업국 중심의 적극적인 해외시장확대 노력이 필요

 

 (4) 세계 경제 회복세 부진에 따른 통상전쟁에 대비해야 함

 

 (5) 차세대 성장 발판이 될 신성장 산업의 조기 발굴 및 육성이 시급
 

 

 

※ 출처 : 현대경제연구원 산업전략본부 작성